GUI 기반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하모니카OS를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GUI 기반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소프트웨어 매니저 : mintinstall이라는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이며, 패키지 검색,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합니다. 하모니카OS 설치 후 나타나는 "환영합니다" 프로그램에서 기본적으로 소개하는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입니다. 소프트웨어 : 그놈 프로젝트의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이며, 패키지 검색, 설치 및 제거가 가능합니다. 위의 [소프트웨어 매니저]와 [소프트웨어]는 설치 패키지 내역을 공유하지 않습니다. 각각 개별적으로 설치된 패키지를 관리합니다.패키지 관리 프로그램리눅스에서 소프트웨어는 패키지 형태로 관리합니다. 리눅스의 패키지 매니저는 크게 데비안 계열의 apt와 레드햇계열의 rpm으로 ..
Windows 운영체제에서 원격접속은 RDP(Remote Desktop Protocol,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리눅스에서 원격접속은 XRDP를 사용합니다. 하모니카는 XRDP를 기본적으로 제공합니다. 따라서 하모니카OS 설치 후 방화벽만 열어주시면 원격접속이 가능합니다. 이 글은 하모니카OS 8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원격접속 포트 설정기본적으로 원격접속을 위해 3389 포트를 사용합니다. 다른 포트로 변경하려면 아래 절차를 진행하세요.터미널을 실행합니다.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xrdp.ini 파일을 나노 편집기로 엽니다.sudo nano /etc/xrdp/xrdp.iniport=3389를 찾아 원하는 포트번호로 변경 후, 파일을 저장합니다.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xrdp-sesman..
설치방법https://docs.hamonikr.org/hamonikr-8.0/install에 방문하여 ISO를 다운로드합니다.https://pendrivelinux.com/universal-usb-installer-easy-as-1-2-3/에 방문하여 Universal USB Installer를 다운로드합니다.Universal USB Installer를 실행하고, 아래 설정을 참고하여 하모니카 리눅스 ISO를 선택하여 설치용 USB를 만들어주세요.Step1에는 USB 드라이브를 선택해주세요.Step2의 리눅스 유형은 Linux Mint로 선택해주세요.Step3에서는 Showing All ISO 체크박스를 체크하고, 다운받은 iso 파일을 선택하세요.Step4는 적당히 선택해주세요. 여기에서는 4089MB..
Windows 운영체제에 원격 접속을 하는 경우, 특정 사람에게 메일을 발송하는 방법을 정리하였습니다.먼저 메일발송용 PowerShell을 작성하여 파일로 저장해두세요.# 메일내용$From = "test@example.com"$To = "test@example.com"$Subject = "원격접속 알림"$Body = "원격접속이 감지되었습니다"# 접속정보$SmtpServer = "stmp.example.com"$Port = 587$Username = "userName"$Password = ConvertTo-SecureString "userPassword" -AsPlainText -Force# 메일발송$Credential = New-Object System.Management.Automation.PSCre..
Python 설치https://www.python.org/에서 Python을 다운로드 후 설치파일을 실행하세요.[Customize installation]을 클릭하세요.[for all users]를 체크하신 후 Next 버튼을 클릭하세요.아래와 같이 체크 하신 후 Install을 클릭하세요.[Disable path length limit]를 클릭하세요. 이 작업은 Windows의 경로제한 260자를 해제합니다. 추후 Python 작업 시 260자 이상의 파일경로를 사용하는 일이 의외로 자주 발생하는데, 이 때 발생하는 오류를 미연에 방지해줍니다.설치가 완료되었으면 명령프롬프트를 실행하세요.python 명령을 입력했을 때 Python 버전이 출력되면 정상적으로 설치된 것입니다.C:\>PythonPython..
Windows 11을 설치하면 좌측 상단에 [홈], [갤러리]와 같은 폴더가 추가됩니다.[홈]에서는 최근 사용한 파일 내역들을 볼 수 있고, [갤러리]는 모든 사진들을 모아 볼 수 있는 곳입니다. 이러한 기능들은 편리할 수 있지만, 반대로 민감한 파일이나 사진들이 다른 사람에게 노출될 수 있어 불편할 수 있습니다.여기서는 이 폴더를 삭제하는 방법에 대해 안내합니다.주의 아래의 내용은 2025년 2월 26일을 기준으로 작성된 내용입니다. 따라서 추후 윈도우 업데이트로 인해 동작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레지스트를 삭제를 진행하기 전에 항상 백업 절차를 따라주세요. 문제가 발생할 경우를 백업을 통해 복구할 수 있습니다. 레지스트리 편집으로 발생하는 모든 문제는 전적으로 편집을 하는 당사자자 스스로가 책임져야합..
문제 내용파일탐색기 좌측 상단에 원드라이브 폴더가 2개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 폴더를 지우는 방법에 대해 안내드립니다.삭제 방법키보드의 Windows Key+R 키를 누르면 [실행] 창이 나타납니다. [regedit]를 입력하고 [확인]을 클릭합니다.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실행되면 아래 경로로 이동해주세요.HKEY_CURRENT_USER / Software / Microsoft / Windows / CurrentVersion / Explorer / Desktop / NameSpaceNameSpace 하단의 폴더들 중 하나를 삭제하면 됩니다. 삭제하기 전에 [내보내기]를 통해 값을 백업해주세요.백업을 완료하셨으면, 이제 삭제를 해보세요. 결과는 즉시 파일탐색기에 나타납니다.만약 잘못 삭제하여 복..
환경변수값(예시)설명%TMP% 또는 %TEMP%C:\Users\HongsPC\AppData\Local\Temp 또는 C:\WINDOWS\TEMP운영체제나 어플리케이션들이 임시적으로 생성하는 파일이 저장되는 폴더%USERNAME%HongsPC로그인된 사용자 이름%USERPROFILE%C:\Users\HongsPC사용자의 Home 폴더%HOMEDRIVE%C:\운영체제의 Home 폴더가 생성되는 드라이브%HOMEPATH%\Users\HongsPC사용자의 Home 폴더참고1. 드라이브명은 포함되지 않음참고2. %HOMEDRIVE%%HOMEPATH%는 %USERPROFILE%과 동일함%APPDATA%C:\Users\HongsPC\AppData\RoamingApplication들의 사용자 별로 고유하게 생성하는 설..
운영체제 마다 서로 다른 줄바꿈 문자를 사용합니다. 대표적으로 Microsoft 계열 운영체제에서는 CR+LF, Unix 계열 운영체제에서는 LF를 사용합니다. Unix계열인 Linux, iPhone, Android 운영체제도 LF를 개행문자로 사용합니다. Windows, Unix 계열 이외에도 여러 운영체제가 존재하며 줄바꿈 문자로 CR만 사용하거나 LF+CR, NL, RS 등 다양한 문자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운영체제 마다 서로 다른 줄바꿈 문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운영체제가 달라지면 텍스트가 다르게 출력되거나 예기치 못한 프로그램 오류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여기에서는 왜 Windows와 Unix 계열 운영체제가 서로 다른 개행문자를 사용하게 되었는지 소개합니다. 줄바꿈? CR, LF란? CR과 LF..
최초 설치 후 접속 - 아이디/패스워드: ubuntu/ubuntu - 화면 지우기: clear - 디렉터리 나열: ls (-l 옵션: 소유자, 파일크기 등 상세정보 출력, -a 옵션: 숨김파일 출력) - 디렉터리 이동: cd 디렉터리명 - 관리자 권한 전환: sudo -su 인터넷 연결확인 유선으로 연결된 경우 별도 설정 없이 바로 인터넷에 연결되며, 연결이 정상적인지 확인하기 위해 ping 명령어를 사용함 예를들어 공유기로 IP를 날려보자 - 예시) ping -c 5 192.168.0.1 - 설명) ping -c 요청수 대상IP(또는 도메인) 만약 WIFI를 사용하고 있다면, 인터넷 설정 파일(/etc/netplan의 yaml 파일)을 직접 편집해야함 인터넷 아이피 주소확인 로컬IP: ip addr 또..
- Xamarin.Forms eBook
- flutter
- Xamarin.iOS
- linux
- Xamarin.Forms
- material-ui
- .NET Standard
- TypeScript
- ios
- MS SQL
- VisualStudio
- Xamarin
- React
- windows
- Xamarin.Forms 요약
- Vue
- WPF
- Android
- ASP.NET Core
- npm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