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OS

[Linux] 하모니카 OS에서 원격접속

해구름 2025. 9. 19. 11:58
반응형

Windows 운영체제에서 원격접속은 RDP(Remote Desktop Protocol, 원격 데스크톱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리눅스에서 원격접속은 XRDP를 사용합니다. 하모니카는 XRDP를 기본적으로 제공합니다. 따라서 하모니카OS 설치 후 방화벽만 열어주시면 원격접속이 가능합니다. 이 글은 하모니카OS 8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원격접속 포트 설정

기본적으로 원격접속을 위해 3389 포트를 사용합니다. 다른 포트로 변경하려면 아래 절차를 진행하세요.

  1.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2.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xrdp.ini 파일을 나노 편집기로 엽니다.
    sudo nano /etc/xrdp/xrdp.ini
  3. port=3389를 찾아 원하는 포트번호로 변경 후, 파일을 저장합니다.
  4.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xrdp-sesman.ini 파일을 나노 편집기로 엽니다.
    sudo nano /etc/xrdp/xrdp-sesman.ini
  5. ListenPort=3389가 있다면 원하는 포트번호로 변경 후 저장하세요. ListenPort=3389가 없으면 무시하셔도 됩니다.

방화벽 열기

하모니카 OS는 ufw를 통해 방화벽을 관리합니다.
터미널(Ctrl+Alt+T) 실행 후 다음 명령을 실행해주세요.
(3389가 아닌 다른 포트를 사용한다면, 해당 포트번호를 입력하세요)

sudo ufw allow 3389
sudo ufw reload

Xrdp 재시작

설정을 마무리했으면 터미널에서 다음을 실행하여 Xrdp를 재시작해주세요..

sudo systemctl restart xrdp

오류 대응

  • X server could not be started 가 발생하는 경우 : Windows 운영체제의 [원격 데스크톱 연결] 프로그램에서 [옵션 표시]를 클릭하고 옵션을 기본 값으로 바꾸어보세요. 예를들어 해상도가 32비트가 아니라면 32비트로 변경후 다시 시도해보세요.
  • 원격접속 오류의 원인을 로그로 확인해보세요. 터미널에서 아래 명령을 입력하면 로그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at /var/log/xrdp-sesman.log
댓글